블록체인 활용사례 2편 - 이더구(ethergoo)
암호화폐가 인기를 끌면서 블록체인 기반 게임들이 속속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기반의 방치형 게임 이더구(Ethergoo)도 그 중 하나인데요.
게임과 블록체인 기술이 결합되어
게임 상에서 아이템을 구매할 때 거래요청을
이더리움 가스(GAS) 수수료를 지불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면
트랜잭션 처리 후 게임 상에 구매가 완료되는 형식입니다.
위의 화면은 이더구(ethergoo)게임의 메인화면으로
Goo라는 게임 상의 물질을 생산하는 생쥐, 오리, 토끼 기타 등등의 동물들이
생산하여 총 Goo생산 기여도에 따라 이더리움(ETH)코인으로 전환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게임을 하면서 이더리움도 벌 수 있어서 갈수록 인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다만 계정생성부터 아이템 구입, 이더리움 전환까지 전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이라 사용자가 요청 시 마다 수수료가 들게 되고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태가 영 불안정하여 스마트컨트렉트가 바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수 분에서 길게는 수 시간이 걸리기도 한 점이 단점입니다.
아무래도 이더리움 프로젝트팀이 샤딩이나 라이덴 네트워크 등과 같은
네트워크 개선책을 내놓아야 제대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크롬브라우저나 브레이브 웹브라우저의 확장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크롬브라우저 웹스토어에서 메타마스크라는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자신만의 이더리움 지갑이 생기며
이더리움 네트워크로 접속을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메타마스크가 필수로 필요합니다.
ethergoo라는 웹사이트에서 아이템구매와 같은 요청이 들어오면
메타마스크 확장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메타마스크의 기능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트랜젝션을 다른 노드들에게 전달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더리움 블록이 생성되면서
트랜젝션이 처리되고 처리된 내용이 새 블록에 담겨 다른 노드들에게 퍼지게 되고
ethergoo 사이트 내부에 결과가 반영되게 됩니다.
게임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례 중 하나로,
게임의 전반적인 행위와 보상이 전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어
웹사이트의 서버 부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DB보안에 대한 부담을 덜어 준다는 점이
중소규모 개발진들의 보안, 유지보수 비용 부담을 낮춰주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합니다.
https://ethergoo.io/ 를 통해 게임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 암호화폐 적용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활용사례] 이더델타와 포크델타 가상화폐거래소 (0) | 2018.04.21 |
---|---|
[블록체인 활용사례] 블록체인과 브레이브 웹브라우저 (0) | 2018.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