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월 아이폰이 처음 발표되고
2008년 10월 최초의 안드로이드폰 HTC G1이 나오면서
스마트폰에 있는 어플(앱)이라는 이름이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왔습니다.
여기서 앱, 어플은 Application을 뜻하며
컴퓨터기기의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웹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웹어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용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앱)이라고 하는데요.
블록체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은
dApp이라는 용어로 부르게 됩니다.
여기서 App은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으로
d는 decentralized 즉 중앙화되지 않은, 분산형의 뜻으로
분산형 어플리케이션을 뜻합니다.
분산형은 DB가 분산이 되었다는 것을 뜻하며,
App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 분산된 노드 DB에
같은 내용을 분산시켜 저장시킴으로써
수 많은 본제본처럼 동일한 DB 데이터들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렇게 분산 저장되어 해킹에도 안전한
dApp들은 특정 블록체인을 이용하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이거나 네오 네트워크, 이오스 네트워크(6월2일 메인넷출시 예정)와 같이
암호화폐 명칭으로 친숙한 이름들이
내부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으며
dApp개발자들은 해당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dApp을 개발하고 배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dApp의 갯수는 해당 블록체인, 그리고 암호화폐의 수요와 연관 있기 때문에
암호화폐 가치의 척도가 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가장 활발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로
dapp radar와 dappinsight라는 사이트에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 dApp리스트들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dApp리스트 사이트들입니다.
1.DappRader (이더리움)
유저 수나 dApp 스마트컨트렉트로 사용되는 이더리움 양 등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 정렬할 수 있고
트렌젝션 그래프와 같은 dApp분석자료가 잘 갖춰진 사이트입니다.
출처:https://dappradar.com/
2.dappinsight (이더리움)
이더리움 전체의 DAU(하루 실제 이용자 수)나 트렌젝션 등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각 dApp에 대한 정보를 마찬가지로 그래프로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출처:https://dappinsight.com/
3. ndapp.org (네오NEO)
간략하게 NEO기반 dApp들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Github, 백서, 공식홈페이지 등의 링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http://ndapp.org/
4. qtumeco (퀀텀 QTUM)
퀀텀 공식 팀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로 자세한 설명과 관련 백서들이 링크되어 있습니다.
출처:https://qtumeco.io/dapps
5. STATE OF TRON DAPPS (트론 TRON)
트론의 dApp 리스트들이 있는 사이트입니다.
아직은 dApp설명만 주로 넣어져 있고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종류나 스마트계약 주소 등에 대한 내용을 담으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출처:https://stateoftrondapps.com/
현재까지는 2세대 블록체인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dApp들이 활발한 상태이지만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부하, 속도 개선이 늦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3세대 블록체인 네오, 이오스 등의 등장으로,
마치 스마트폰의 등장 초기와 같이
점차 다양한 종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수많은 dApp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나와서 우리의 생활 곳곳에
스며들 것이라 생각합니다.
'가상화폐 > 관련프로그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크델타 거래소 사용법 (0) | 2018.04.29 |
---|---|
메타마스크 한글 전환 및 이오스 지갑 만들기 (0) | 2018.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