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엑스페이토큰(PAY) 가격 및 전망
텐엑스페이토큰(PAY)은 텐엑스(TenX)카드라는 암호화폐 체크카드 및 Tenx 어플을 만들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카드를 가지고 암호화폐 지불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미 TenX어플이 개발된 상태라 ios기기와 안드로이드기기에서 다운로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마치 체크카드 어플처럼 카드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전송이나 수신을 받을 수 있으며
카드잠금 기능을 제공해서 카드 분실 시 도용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이더리움만 지원하는 상태입니다.
텐엑스페이토큰(PAY)은 현재 약 1550억 원의 시가총액을 보이며 현재 가격은 약 1500원,
총 발행량은 약 2억 5백만 개입니다.
텐엑스페이토큰(PAY) 백서에 따르면,
특징적인 점은 텐엑스카드 사용 유저에게 결제 시마다 결제금액의 0.1퍼센트의 보상을
텐엑스페이토큰(PAY)으로 지급하고
총 텐엑스(TenX) 결제 플랫폼에서 결제된 양의 0.5퍼센트를
텐엑스페이토큰을 소지한 사람에게 인센티브로 지급하게 됩니다.
텐엑스페이토큰(PAY)의 전망을 살펴보면,
당장 2018년 2분기에는 Banking License(은행 면허)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은행 면허가 있어야 제3의 회사가 아닌
텐엑스에서 직접 카드발급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한, COMIT 네트워크를 완전히 적용시켜
수수료가 거의 없고 매우 빠르게 블록체인 간 거래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아래는 텐엑스페이토큰 백서에 명시된 현재 은행 네트워크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그리고 COMIT 네트워크의 비교분석표입니다.
텐엑스페이토큰의 전망은 결국 많은 사람들이 오프라인 및 어플을 통해
텐엑스 카드를 얼마나 사용하느냐에 달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미 어플을 구축하였지만 현재 유통되는 암호화폐 수에 비해
현저히 적은 종류(현재 3가지)를 지원한다는 점이 유저 수를 늘리는 데 걸림돌이 된다고 봅니다.
뿐만 아니라 카드의 형태 또한,
현재 CoolWallet S나 Fuze X와 같이
카드 상에 코인 잔여량이 보이는 진화된 카드를 무기로 한 경쟁사들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
텐엑스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 않나 싶습니다.
아래는 현재 구매 가능한 퓨즈엑스(Fuze X)와 쿨월렛에스(CoolWallet S) 카드의 형태입니다.
잔여량을 표시해준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현재의 신용/체크카드도
미래에는 이러한 형태로 바뀌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블록체인 기술 중 화폐의 성격이 짙은 암호화폐 특성 상
화폐관련 대출산업, 금융, 그리고 체크카드 및 암호화폐 지갑 분야에
많은 기업들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기술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카드를 사용하면 페이백이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과거의 기존 카드사 고객 유치 방식만이 아니라
카드와 IT의 융합으로 보다 뛰어난 기능을 제시하는 기업이
미래의 카드 시장을 이끌어나가지 않을까 싶습니다.